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21.55.224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1992년 롯데의 우승 이후
(r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한국 스포츠 관련 ==== 1. 프로축구 [[전북 현대 모터스]][* 창단 당시 팀명은 [[전북 버팔로]]인데 1년만에 해체했다가 전북 다이노스라는 이름으로 재창단을 하였으며, 2000년부터 현재의 팀명을 사용하고 있다.]가 창단되었고'''(1994)''', 2년 후 [[수원 삼성 블루윙즈]]'''(1996)'''가 창단되었다. 그 다음 해에는 [[대전 시티즌]]'''(1997)'''이 창단되었다. 그 이후 [[K리그]]에는 수많은 기업구단 및 [[시민구단]]들이 창단되고, 승강제가 도입되었다.'''(2012)''' 1. 이 해 [[K리그]]에 입단하여 롯데의 우승 한달 뒤에 [[포항 스틸러스]]를 우승으로 이끌고 K리그 MVP까지 수상한 [[홍명보]]는'''(1992)''' 이후 10년간 더 국가대표로 뛰면서 세 번의 월드컵'''(1994, 1998, 2002)'''을 더 참가하여 주장으로서 대한민국 최초의 월드컵 첫승과 4강을 이끌며 아시아인 최초의 브론즈볼을 수상하였고'''(2002)''', 코치로서도 월드컵에 참가를 하였으며'''(2006)''', 감독으로서도 [[2009년 FIFA U-20 월드컵|U-20 월드컵]]과'''(2009)'''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아시안게임]]'''(2010)''',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올림픽]]'''(2012)''',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월드컵]]'''(2014)'''을 모두 이끌었다.[* 특히 올림픽에서는 [[2012 런던 올림픽/축구 동메달 결정전|사상 최초의 동메달]]을 이끌어내며 감독 커리어에 정점을 찍었으나 [[홍명보호/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월드컵]]에서는...[[알제리 쇼크|망했어요]].] 현재는 행정가로 변신하여 축구협회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고 있다.'''(2017)''' 1. 대한민국 농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꼽히는 국보급 센터 '''[[서장훈]]'''이 롯데가 우승한 이듬해에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여 첫 출전한 [[농구대잔치]]를 제패하였고,'''(1994)''' 재학 중에 미국 유학도 한번 다녀왔으며,'''(1995)''' 프로에 입단하여 두 번의 우승'''(2000, 2006)'''과 두 번의 리그 MVP, 한 번의 챔프전 MVP를 차지하고 수 많은 덩치 큰 외국인 선수들 사이에서 엄청난 통산기록들을 쌓으며, 커리어 마지막 시즌은 [[부산 kt 소닉붐]]에서 뛰고 은퇴하였다.'''(2013)''' 그리고 은퇴 후에는 방송인으로 변신하여 다수의 예능에 출연하여 인기를 누리고 있다.'''(2014~)''' 1. KBL에서 마지막까지 챔피언결정전에 오르지 못했던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가 챔프전에 진출하였다.'''(2019)''' '''챔피언결정전이라는 개념이 없는 K리그를 제외한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리그에서 1회 이상 챔프전에 진출한 모든 팀들은 롯데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하는 동안 챔프전에 최소 한 번은 진출했다.'''[* 현존하는 팀들 중, 챔프전을 1회도 진출하지 못한 팀은 KBO의 [[kt wiz]], V-리그의 [[서울 우리카드 위비]],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이 네 팀 뿐이다. 네 팀 모두 창단 내지는 프로화가 롯데의 마지막 한국시리즈 이후라는 점에서, 사실상 롯데가 가장 오래 챔프전에 진출하지 못한 셈이다. 게다가 2008년 창단한 우리카드는 2020년 정규시즌 1위를 달리고 있었는데, 하필이면 '''[[코로나19]] 범유행전염병 사태가 터지는 바람에''' 중간에 리그가 종료되면서 못 간 케이스라 여기 끼기에는 살짝 억울한 케이스이다.] 1. 대한민국의 프로배구 리그인 [[V-리그]]가 출범하였고,'''(2005)''' V-리그의 남녀 포함 13개 팀들 중 남자부 3팀을[* [[서울 우리카드 위비]],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제외하고는 모두 우승을 경험했다. 1. 대한민국의 실업 여자농구 리그인[* WKBL은 공식적으로 프로 리그가 아니다. 차후 편집 시 주의할 것.] [[WKBL]]이 출범하였으며,'''(1998)''' 마지막까지 우승하지 못했던 [[청주 KB 스타즈]]가 창단 56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2019)''' 따라서 롯데가 우승하지 못하는 동안 WKBL 팀들은 모두 우승을 한 번 씩은 맛보았다. 1. [[박세리]]가 한국 최초로 LPGA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1998)''' 이 대회를 포함하여 통산 메이저 대회 4회 우승을 하였으며 112년만에 골프가 부활한 올림픽에서 감독을 맡으며 [[박인비]]의 금메달을 이끌어냈다.'''(2016)''' 2019년 현재 박세리를 포함하여 한국인 선수가 LPGA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한 횟수는 30회를 돌파하였다. 1. 게임계에서는 '''[[임요환]]'''이라는 황제를 시작으로 프로게이머와 e스포츠의 시대가 개막했으며 [[SK텔레콤]], [[KT]] 등 대기업들이 스폰서로 참여한 팀도 늘어났다. 1. [[SK텔레콤 T1]]은 e스포츠 최강팀으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는 8회 우승(2003, 2005 전후기 통합, 2006 전기, 08-09, 11-12 시즌1, 2015), [[롤챔스]]에서도 9회 우승(2013 서머, 13-14 윈터, 15 스프링, 서머, 16 스프링, 17 스프링, 19 스프링, 서머, 20 스프링), 롤드컵 3회 우승(2013, 2015, 2016)했다.''' 1. 위의 팀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절부터 라이벌 관계를 이루었던 [[kt 롤스터]]도 3회 우승(09-10, 10-11, 2014)에 빛나며 롤챔스에서도 형제팀 시절이었던 [[KT 롤스터 애로우즈|kt 애로우즈]]의 2014년 우승 이후 4년만에 단일팀 개편 이후 최초 우승을 일궈냈다. 2018 LCK 서머에서 kt가 우승하자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서는 롯데는 언제 우승하냐는 글이 올라올 정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21.55.22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21.55.224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